“게으르니까 뚱뚱해”… 해묵은 편견입니다

‘국민 성인병’ 비만, 오해와 진실

국내 30세 이상 성인 중 비만 유병률은 2005년 34.8%에서 2016년 37.0%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30세 이상 남성의 43.3%가 비만일 정도로 문제의 심각성이 높다. 그러나 비만 환자가 늘어나는 만큼 비만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5일 김용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고도비만수술센터장과 함께 비만에 대한 오해와 편견, 진실을 들여다봤다.
김용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고도비만수술센터장
Q. 뚱뚱한 사람은 의지가 약한가.

A. 통제력과 억제력을 비교한 많은 정신분석 연구에서 정상체중과 비만 그룹은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만 여부와 상관없이 우울증, 주의력 장애, 폭식 장애 환자에게서 통제력이 약하다는 게 확인됐다. 반복되는 ‘요요현상’은 개인의 의지나 동기 부여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Q. 비만이면 잘 움직이질 않는다는 지적도 있는데.

A. 2007~2009년 캐나다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적절한 운동을 계속한 사람은 전체 대상자의 5% 미만이었고 비만인과 정상체중인 사람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실제 성인 비만 남녀의 운동시간은 정상체중인 사람과 비교해 약간 적지만 오히려 육체 노동과 에너지 소비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간과해선 안 되는 것은 사회적 환경 자체가 비만 환자가 운동을 지속하는 데 많은 장애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Q. 뚱뚱한 사람은 식습관이 나쁘다는 지적도 있다.

A. 패스트푸드처럼 열량 높은 음식이나 음료수가 비만과 어느 정도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음식 소비 행태는 비만인과 정상체중인 사람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여대생들의 한 달간 음식 소비 행태와 하루 소비 열량을 조사한 뒤 비만과 정상체중 그룹으로 나눠 분석해 보니 음식 소비 행태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열량 소비는 정상체중 그룹이 약간 많았다.

Q. 누구나 식이와 운동을 통해 체중을 관리할 수 있나.

A. ‘덜 먹고 많이 움직이면 된다’는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으로 들아가면 완전 딴판이다. 비교적 잘 검증된 식이요법과 운동 프로그램조차 단기적인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감량한 체중도 원래 체중의 3~5%로, 실망스러운 결과를 보일 때가 많다. 미국 보건당국이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요요현상 없이 감량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이어트를 계속해야 하고 동시에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2014년 캐나다 비만학회 설문에 참여한 비만 전문의 대부분이 이런 가이드라인이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Q. 체중은 건강의 가장 중요한 척도라고 한다.

A. ‘건강한 체중’이라는 용어가 적절할까. ‘비만의 역설’로 잘 알려진 것처럼 비록 뚱뚱할지라도 적절한 근육량을 유지하고 있다면 실제 성인병 발병률은 낮고 더 오래 살 수 있다. 비만과 건강을 평가할 때는 초과 체중 정도, 체질량지수(BMI·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허리둘레를 포함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체중계의 숫자는 날씬한 몸매에 대한 사회적 기대치를 반영할 뿐 건강 여부를 평가할 수 없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트윅, 무단 전채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여기 이슈
갓생 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