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등재 한라산 지속 가능한 보전 힘써야”

지난 30일 제주자연사박물관에서 열린 제1차 제주학 연구자 발표회에서 동아일보 임재영기자가 한라산과 관련한 강의를 하고 있다. (사)제주학회 제공
“신선의 거처이자 산 숭배의 대상인 한라산은 제주공동체의 구심점이자 근거지로서 명산문화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자연과학분야 연구가 많았는데 산의 인문학적인 연구 관점에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접근과 함께 연구결과의 교류와 확산, 공유 활동이 필요합니다.”

자칭 한라산을 너무나 사랑해 한라산 관련 논문을 써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임재영(59) 동아일보 기자가 30일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서 열린 제주학회 주최 ‘제1차 제주학 연구자 발표회’ 강단에 서 이렇게 말했다.

기자생활 도중 한때 병마와 싸우면서 산과 친해진 그는 세계10대 울트라 트레일러닝대회 중 7개 대회를 완주하며 건강을 다시 회복했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내는 과정을 ‘어쩌다 100㎞’(한그루 출판) 수필로 펴내기도 했다.

(사)제주학회(회장 오상학)는 제주의 역사, 문화, 생태 등 제주학 관련 연구자 발표회를 활성화하여 제주학 연구의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학제 간 네트워크 구성과 학술정보 교류를 통해 학문발전 및 제주도의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마련했다.

발표 후 한라산의 인문학적 가치와 활용방안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토론이 이어졌다. 오상학 제주학회 회장은 “ 앞으로 한라산의 인문학적 연구의 다양화·구체화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 한라산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려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를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선 제주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제주학회는 1978년 3월에 ‘제주도연구회’의 이름으로 출범했다가 1997년 11월 (사)제주학회로 명칭을 변경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역사와 사회구조, 도민의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등 제주도에 대한 다각적이고도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관련 학문분야 전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및 상호협력 촉진, 나아가 지역연구의 표본으로서 제주도 연구의 발전과 국제사회의 연결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 현재 전국에 300여명의 회원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트윅, 무단 전채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여기 이슈
갓생 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