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 정취 가득한 팔랑치와 만복대에 사람 없는 이유
임병선 기자
입력 2018 10 24 12:02
수정 2018 10 24 12:02
지리산 자락을 태극 문양처럼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휘돌아 가는 태극종주의 마침표를 찍기 직전이었다. 지난 19일 경남 산청 대원사 앞을 출발해 치밭목 산장에서 1박하고 다음날 새벽 3시 40분 출발해 천왕봉 일출 보고 세석 대피소에서 점심 들고 연하천 대피소에서 2박째 했다. 21일 아침 6시 50분 일출을 보며 출발해 반야봉의 장쾌한 전망 즐긴 뒤 노고단 대피소에서 점심 들고 한숨 돌렸다. 그리고 22일 새벽 3시 40분 출발해 성삼재 거쳐 만복대 정상 800m를 남겨둔 묘봉치에서 아침을 먹고 세걸산에서 점심을 든 뒤 오후 5시쯤 팔랑치에 이르렀을 때였다.
물론 트레일러닝을 하는 이들에겐 산청 원지마을에서 시작하는 90㎞의 무박 33시간 완주가 그리 희귀하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60대 중반 둘에 기자 등 50대 중반 둘로 이뤄진 일행에게 3박4일 주행이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필요한 물품을 보충하고 10시 15분쯤 세걸산을 향해 다시 가파른 길을 올랐다. 힘든 고비는 넘겼다고 생각했는데 웬걸 힘겨웠다. 세걸산은 계속 오르막 내리막이 반복됐다. 길은 험해 자칫 발을 잘못 딛으면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까봐 머릿끝이 쭈뼛쭈뼛 서기 일쑤였다. 먼길을 걸어온 피로감까지 겹쳐 더욱 힘들어졌다.
점심을 먹으니 오후 2시가 조금 안 됐다. 인월에 서울행 버스를 예약했는데 오후 6시 25분 출발이었다. 바래봉까지 남은 거리는 6㎞ 남짓이었다. 바래봉에서 속세로 떨어지는 임도까지 따지면 10㎞는 더 남은 상태였다. 4시간에 이 거리를 주파할 수 있을까 자신할 수가 없었다.
머리를 맞댄 결과, 자신감을 갖고 내처 해보자고 결의했다. “한걸음 한걸음 내딛으면 언젠가 목적지에 닿는다”고 되뇌었다. 그렇게 잰걸음을 떼니 오후 4시도 안돼 바래봉이 빤히 보이는 팔랑치에 이른 것이다. 팔랑치 위쪽에서 내려다보니 그야말로 가을색이 내려앉았다. 멀리서 황색 꽃무리처럼 보였던 것이 다가가 보니 어린 억새의 춤사위였다. 어른 키만큼 자란 억새도 예쁘지만 어른들 배꼽 높이의 물결들이 잔바람에 일렁이는데 뒤에는 우리가 밟아온 지리의 주능선이 멀리서 배경을 이룬다. 꿈결같다. 우리가 저곳을 걸어 여기에 이르렀다니,
아무리 시간에 쫓기더라도 사진을 마음껏 찍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기자가 먼저 다다라 5분 동안 일행을 기다리는데도 새소리 외에는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 이렇게 완연한 만추를 즐길 수 있는 곳에 인기척이 없다. 물론 처음에는 우리만 이 산자락에 존재한다는 것이 흔감하기 이를 데 없었다. 하지만 궁금증도 그만큼 커졌다.
하여튼 통상 바래봉 정상 넘어 덕두산으로 해서 인월마을로 가는 코스를 시간상 포기하고 임도를 따라 내려왔다. 웬걸, 운지사로 내려가는 산속 코스를 다 막아놓았다. 어쩔 수 없이 임도를 택했는데 장난 아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관할하는 구간인데 웬일인지 길에 돌을 잔뜩 깔아놓았다. 나중에 인월 택시 기사분도 “어지간히 큰돌을 깔아놓아 우리도 어이없어 한다”고 말을 잇지 못했다. 거의 4㎞를 그렇게 걸어 내려왔다. 무릎이 시큰거리고 발바닥이 펄펄 끓어올랐다.
택시를 부르고 일행은 “임도가 이런 지경인지 알았으면 덕두산으로 하산해 옛인월마을로 떨어져 인월터미널까지 걸어가도 되는 원래 루트를 따라 갔어도 충분히 시간에 맞출 수 있었고 난이도도 비슷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다행히 일행은 택시로 인월까지 이동해 목욕탕 들러 간단히 씻고 서울로 돌아왔다.
하지만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사람들을 오지 말라고 이렇게 돌을 깔았는지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았다. 아울러 팔랑치처럼 만추의 풍경이 가득한 명소를 사람들이 찾지 않는 이유에 공단이 일조하고 있지 않나 싶었다.
공단이 바래봉 진입 임도를 조금 더 편하게 만들고 만복대 정상의 무한반복되는 녹음 방송을 시정했으면 한다.
산청 남원 글 사진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 트윅, 무단 전채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