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초의 피로 지켜왔던… 남원 수난사, 눈물 차올랐다
손원천 기자
입력 2022 09 14 17:46
수정 2022 09 15 03:05
아픈 역사 품은 남원
정유재란 왜군 5만여명 들이닥쳐군사·주민 등 1만여명 결사항전
수적 열세 극복 못하고 전멸당해
남원성·만인의총 등 유적 많아
남원은 정유재란 때 특히 피해가 컸다. 대표적 격전 중 하나가 1597년 8월(음력)에 벌어진 ‘남원성(현 남원읍성) 전투’다. 당시 남원은 전략 요충지였다. 임진왜란 때 곡창지대 전라도 점령에 실패한 것이 패착이라고 판단한 왜는 14만명의 병력을 좌군, 우군으로 나눠 전라도로 진격했다. 이 중 5만 6000여 왜군이 맞닥뜨린 곳이 남원성이다.
조선 역시 남원성을 왜군 저지의 최전방 보루로 여겼다. 당시 성안에는 조명연합군 소속의 명나라 군사 3000명과 조선군, 남원 주민 7000여명 등 1만여명이 머물고 있었다. 이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왜군과 맞섰지만 6배 가까운 병력 차이를 극복할 수는 없었다. 결국 남원성은 왜의 수중에 떨어졌고, 성을 탈출한 명나라 장수 양원과 50여 병력을 제외하고 성안에 있던 이들 모두 전사했다.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인 만복사가 왜군의 방화로 소실된 것도 바로 이때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1984년 일본 오카야마현의 비젠시에서 발견된 코무덤이다. 정유재란 당시 전북 일대를 점령한 비젠 성주가 남원, 부안 등에서 전사한 조선 양민과 병사들의 시체에서 잘라 온 코 2만여개를 묻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뚜렷한 기록은 없지만 남원성 전사자의 시신에서 가져간 코가 상당수 포함됐을 거라는 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합리적 의심’일 것이다.
남원성은 평지에 세운 둘레 약 2.5㎞, 높이 3m 남짓한 장방형 석성이었다. 이 좁은 공간에 1만여명의 사람이 들어차 농성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현재 동충동에 성벽 일부가 남아 있다. 성벽 위에 서면 정유재란 당시 장면이 오버랩된다. 높지 않은 성벽을 경계로 수만명에 달하는 인원과 군마가 격전을 벌였을 터다. 지금은 간간이 지나는 자동차의 소음만 들릴 뿐 세상 적요하다.
남원읍성 맞은편은 만인의총(사적)이다. 국적과 신분이 다르고, 태어난 날도 다른 1만여명의 남원성 전사자가 함께 죽어 묻힌 곳이다. 전라병마사 이복남 등 충신을 모신 충렬사, 기념관, 만인묘 등으로 이뤄졌다.
교룡산은 수운 최제우가 머물며 동학의 주요 경전을 집필한 곳이다. 1894년 동학 농민혁명 때도 수많은 전투가 치러졌다. 이를 기념하는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시인 김삼의당의 시비도 이곳에 조성돼 있다.
옛 남원역은 여유 있게 사진 찍기 좋은 장소다. 2004년 남원역이 이전하며 폐역으로 남았다. 여름철 꽃양귀비 군락으로 유명한 곳인데, 가을에도 코스모스 등 가을꽃들이 녹슨 철길 주변에 가득 핀다. 옛 남원역은 조만간 남원성 전투를 기억하는 ‘만인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도심 속 낡은 풍경의 ‘유효기간’도 얼마 남지 않은 셈이다.
정령치 인근의 운봉읍 행정마을엔 서어나무 숲이 있다. 수령 200년을 넘긴 90여 그루의 아름드리 개서어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숲에선 하루 한 번 치유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음향기기로 자연의 소리를 체험하는 ‘숲에서 찾는 힐링의 소리’와 숲에서 사색을 즐기는 ‘숲멍 피크닉’ 등 두 가지다. 5월~11월 진행된다. 문화예술조합 섬진강 누리집(www.seomjingang.co.kr)에 자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 트윅, 무단 전채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