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끈불끈 솟은 마천루, 설산의 神 깨어나다
손원천 기자
입력 2022 01 26 19:48
수정 2022 01 27 10:21
강원 동해 무릉도원 ‘두타산’
빌딩처럼 솟은 암봉 ‘마천루 전망대’무릉계곡까지 왕복 약 6㎞ 트레킹
‘한 폭의 액자’ 삼화사와 숲길 지나
학소대·옥류동·쌍폭포 절경의 시작
협곡 사이로 아슬아슬 금강바위길
발바닥·원숭이… 온갖 바위의 향연
장대한 풍광에 감탄의 육두문자만
저 이름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 동서고금에 전하는 좋은 말은 죄다 산 이름에 가져다 붙여 어디가 어딘지 헷갈릴 지경이다.
우선 두타산(1357m)부터. 동해와 삼척에 걸쳐 있는 산이다. 정상이 동해에 속해 보통 동해의 산으로 여겨진다. ‘두타’(頭陀)는 불교용어다. 번뇌를 버리고 수행에 정진할 수 있는 정결한 땅을 뜻한다. 두타산 옆은 청옥산(1256m)이다. ‘청옥’(靑玉) 역시 불교에서 극락을 상징하는 보석 중 하나다. 산이 높으면 골도 깊은 법. 두 산자락 아래로 길게 계곡이 형성돼 있다. 여기가 바로 동해시가 자랑하는 무릉계곡(명승·2008)이다. ‘무릉’(武陵)은 이상향을 뜻하는 도가의 용어다. 중국 시인 도연명이 지은 ‘무릉도원’(武陵桃源)에서 따왔다. 계곡의 길이는 4㎞ 정도. 이 안에 삼화사, 옥류동, 쌍폭포 등 볼거리들이 수두룩하다.
두타산은 산줄기 두 곳에 걸출한 암봉을 품고 있다. 베틀바위와 마천루다. 이 가운데 두타산과 무릉계곡 사이에 솟은 바위 절벽이 바로 마천루다. 두 암봉 모두 산세가 험하다. 장삼이사들은 아예 다녀올 엄두를 못 냈다. 한데 바로 이곳에 접근로가 생겼다. 베틀바위 전망대가 2020년에 먼저 열렸고 마천루 전망대는 지난해 여름에 개방됐다.
이번 여정의 목적지는 마천루 전망대다. 무릉계곡을 거쳐 마천루까지 오른 뒤 원점 회귀하는 코스다. 거리는 왕복 약 6㎞ 정도. 최소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본격적인 ‘산행’이라기보다는 ‘트레킹’에 가깝다. 구간 일부만 된비알이라 힘들 뿐 나머지는 완만한 경사의 산길이다. 다만 바닥이 얼어 미끄러운 구간이 많은 만큼 아이젠 착용은 필수다.
오전 7시 30분. 산이 깨어나는 시각. 두타산의 정수리가 붉다. 동해에서 솟은 해가 갓 붉어진 햇살을 산에 비췄다. 에베레스트처럼 높은 산도, 두타산처럼 상대적으로 낮은 산도 깨어나는 모습은 비슷하다.
갈림길에서 무릉계곡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가장 먼저 객을 맞는 건 금란정이다. 작은 정자 아래로 너른 반석이 펼쳐져 있다. 이른바 무릉반석이다. 조선 화가 김홍도가 이 모습을 보고 ‘금강사군첩 무릉계’를 그렸다고 한다. 무릉반석 위엔 명필이라 할 글씨가 잔뜩 쓰여 있지만 아쉽게도 쌓인 눈이 모두 덮어 버렸다.
무릉반석 위는 삼화사다. 본전에 모셔진 철조노사나불좌상, 삼층석탑(이상 보물) 등 볼거리가 있다. 열린 천왕문의 사각 프레임에 걸린 삼층석탑과 중심 법당인 적광전의 모습이 꼭 근사한 액자 사진을 보는 듯하다.
삼화사를 넘어서면 숲길이 시작된다. 숲은 적요하다. 먹이를 찾아 나무를 쪼아 대는 오색딱따구리류의 부리질 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이다. 생각을 정리하기에도 좋고, 아무 생각을 하지 않기에도 그만이다. 학소대, 옥류동 등의 절경을 줄줄이 지나면 쌍폭포다. 이름 그대로 두 개의 작은 폭포가 마주 보며 흘러내린다.
여기서도 길이 갈린다. 왼쪽은 마천루로 가는 등산로, 오른쪽은 용추폭포 가는 길이다. 용추폭포는 무릉계곡에서 가장 깊고 웅장한 폭포다. 마천루를 오를 때나 내려올 때 꼭 들르길 권한다. 갈림길에서 5분이면 갈 수 있다.
여기까지는 된비알이 별로 없다. 등산복 차림이 아닌 ‘관광객 모드’의 탐방객도 어렵지 않게 오를 수 있다. 등산로는 쌍폭포를 지나야 비로소 경사를 높이기 시작한다. 두타산이 숨겨둔 풍경들을 내어 주기 시작하는 것도 여기부터다. 암벽 사이로 길이 이어져 있다. 이른바 ‘금강바위길’이다. 주변 절벽마다 근육질의 바위들이 아슬아슬하게 매달렸다. 사업 성공을 상징한다는 발바닥바위도 있고 화과산 암릉에 걸터앉은 원숭이 형상의 바위(고릴라바위로도 불린다)도 있다.
이런 식으로 다양한 바위가 밀집된 암벽은 보통 ‘만불상’이라 불리기 마련이다. 한데 여기선 ‘마천루’다. 주변의 바위들이 마치 빌딩 숲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마천루 전망대에서 굽어보는 주변 풍경이 멋들어지다. 기골이 장대한 바위 절벽들이 한눈에 들어 온다. 연속적으로 포개지거나 잘려 나간 바위들이 꼭 화가의 비구상 작품을 보는 듯하다. 언뜻 섬뜩한 아름다움도 느껴진다. 한데 어찌된 영문인지 입에선 연신 육두문자만 나온다. 표현력이 달려서다. 예전 한 후배의 ‘뼈 때리던’ 말이 기억에 사무쳤다. “그토록 아름다운 풍경 앞에서 기껏 할 수 있는 게 욕밖에 없는 것이 대한민국 중년 남자”라던가. 지금, 딱 그랬다.
용추폭포 어름에서 올려다보는 마천루의 모습도 장관이다. 마천루 전망대가 얼마나 험한 바위 절벽 사이에 놓였는지 단박에 알게 된다.
무릉계곡 관광지 바로 아래에 ‘무릉별유천지’가 새로 들어섰다. 다양한 레포츠 시설을 갖춘 복합테마파크다. ‘무릉’에 조응하는 이름과 달리 ‘별유천지’는 사실 ‘별유천지스럽지’ 못한 과거를 가졌다. 1968년부터 2017년까지 ‘별유천지’는 석회석을 캐내던 광산으로 쓰였다. 그 탓에 주변의 거대한 산들이 나사 모양으로 파헤쳐졌다. 상처 입은 산들은 그대로 시설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경기 포천의 아트밸리와 비슷한 탄생 과정을 거친 셈인데 규모는 몇 배나 더 크다. 입구에서 각종 놀이시설까지는 ‘무릉별열차’라는 특수 차량을 타고 이동해야 한다. 몇 걸음만 옮기면 갈아탈 수 있는 도시의 흔한 테마파크와는 ‘사이즈’가 다르다. 흉물로 전락할 수 있었던 폐광을 재활용한 것은 분명 차별화된 시도지만 여기저기 파헤쳐진 자연을 보면 마음이 그리 개운하지는 않다.
글·사진 동해 손원천 기자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