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청와대 전 행정관, 옵티머스 대표 돈 5억 받아 차명 투자”

입력 2020 10 15 23:11|업데이트 2020 10 15 23:11

김재현 대표 돈으로 다시 옵티머스에 투자해 수익 구조
“문건 속 펀드 수익 정부관계자는 이 전 행정관 의미”
검찰, 참고인에서 사기 혐의 피의자 전환 검토

청와대 재직 시절 옵티머스 자산운용의 지분 9.8%를 차명 보유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모(36)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이 김재현(50·구속기소) 옵티머스 대표로부터 5억원을 받고, 이를 다시 차명 투자해 해당 지분을 획득한 정황이 드러났다. 앞서 이 전 행정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한 차례 조사했던 검찰은 이 전 행정관도 옵티머스 금융 사기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사기 등 혐의의 피의자 전환을 검토 중이다.
서울 강남구 옵티머스자산운용 본사의 모습. 뉴스1
서울 강남구 옵티머스자산운용 본사의 모습. 뉴스1
15일 서울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부장 주민철)는 구속된 옵티머스 임원 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 전 행정관이 옵티머스 지분을 차명 보유하게 된 구체적인 과정 등을 파악했다. 이 전 행정관은 지난해 10월 청와대 행정관으로 임명되면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옵티머스 지분 9.8%를 김 대표 비서 명의로 전환하고, 이를 숨긴 채 올해 6월까지 청와대에서 근무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전 행정관은 지난 7월 검찰 조사에서 “지분 분산을 위해 명의만 빌려준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검찰과 복수의 사건 관계인에 따르면 검찰은 피의자들로부터 옵티머스의 돈세탁 창구로 의심받는 페이퍼컴퍼니(유령회사) ‘셉틸리언’의 최대주주이던 이 전 행정관이 김 대표의 제안에 따라 김 대표로부터 5억원을 받고, 이를 다시 옵티머스에 투자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김 대표는 검찰 조사에서 자신이 작성한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에서 “프로젝트 수익자 중 ‘정부 및 여당 관계자’라고 표현한 것은 이 전 행정관을 의미한다”면서 “이런 투자 구조 탓에 자칫 문제가 불거지면 청와대 인사가 개입된 권력형 비리로 호도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
옵티머스 펀드 NH투자증권 피해자들이 지난 7월 23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앞에서 ‘사기판매’를 규탄하고 있다. 뉴스1<br>
옵티머스 펀드 NH투자증권 피해자들이 지난 7월 23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앞에서 ‘사기판매’를 규탄하고 있다. 뉴스1
김 대표는 정부 고위 관료와 대형 건설사 회장 등 실명이 기재된 이른바 ‘로비 리스트’에 대해서는 자신의 PC에 보관 중이던 전화번호부일 뿐 로비는 없었다고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또 김 대표가 청와대 파견 근무 중이던 검찰 수사관 A씨와 친분을 쌓아 왔다는 진술도 확보했지만, 김 대표와 A씨 모두 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지난 7월 청와대에서 퇴직해 검찰로도 돌아가지 않고 개인 사무실을 운영 중이다. 김 대표는 증폭된 의혹과 관련해 16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는 첫 공판에서 하나하나 소명하고, 의혹을 해소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반면 서울신문은 이 전 행정관 측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 카카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더보기
여기 이슈
더보기
갓생 살기
더보기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