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턱이 없어 삼켰어/이 미친 세월을 나는 삼켰지/나는 총이 없어 살았어/내 이름은 진아영/아 나의 상처를 감싸주던 하얀 무명천/아 이젠 아픔을 나는 풀어야겠어”(연영석, ‘내 이름 진아영’)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환기하는 노래를 불러온 민중가수 10팀이 ‘제주 4·3’ 70주년을 맞아 공동으로 추모음반 ‘서울 민중가수들이 띄우는 노래’를 지난 30일 발표했다. 제주 4·3 70주년 범국민추진위원회가 제작한 이 음반에는 김성민, 류금신, 문진오, 손병휘, 안석희, 연영석, 우리나라, 이씬, 이수진, 임정득이 참여했다.
연영석이 노래한 ‘내 이름 진아영’은 4·3 당시 토벌대의 총격에 아래턱을 잃고 평생 얼굴을 무명천을 감싼 채 살아야 했던 진아영 할머니의 삶을 모티브로 학살의 현장을 재현했다.
김성민은 ‘가매기 모른 식게’로 까마귀도 모르게 숨어서 제사를 지내야 했던 희생자들의 넋을, 이씬은 ‘잃어버린 마을’을 통해 학살로 인해 집터만 남은 채 사라져버린 곤을동, 다랑쉬마을을 기린다. 손병휘의 ‘붉은 섬’은 돌림노래 같은 구조를 통해 제주에 켜켜이 쌓인 폭력의 역사를 되짚고, 비슷한 역사를 지닌 오키나와까지 끌어안았다. 그동안 제주 4·3을 음악으로 다룬 창작물은 민중가요 중에서도 많지 않았다. 안치환, 최상돈의 노래나 2014년 기타리스트 성기완이 주축이 돼 만든 헌정앨범 ‘산 들 바다의 노래’ 정도가 꼽힌다.
서정민갑 대중음악평론가는 “제주 4·3을 노래하는 것은 민중가수들에게 오래도록 미뤄둔 숙제 같은 것이었다”면서 “70년이 흐른 뒤 나온 10곡의 노래들은 그동안 무엇이 끝나고 무엇이 남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이어 받아 되묻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3일 오후 6시 30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추모음반 발매 기념 작은음악회를 개최한다.
앞서 가수 안치환도 지난 29일 신곡 ‘4월 동백’을 공개했다. 그가 제주 4·3을 노래한 건 1987년 작사·작곡한 ‘잠들지 않는 남도’ 이후 31년 만이다. 4월에는 동백이 피지 않지만, 제주 화가 강요배의 ‘동백꽃 지다’ 시리즈와 제주 출신 뮤지션 최상돈의 노래를 통해 4·3 사건의 상징적인 꽃이 된 동백을 모티프로 삼았다. ‘이등병의 편지’를 쓴 김현성도 ‘안부-펜안하우꽈’를 발표했다. 김현성은 “오랫동안 기억을 말살당한 4·3을 온전히 복원해 진상규명과 희생자 유족들에 대해 위로를 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