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완전 환영” 몸값도 높였다…쟁탈전까지 벌어진 日 상황

입력 2024 06 29 00:04|업데이트 2024 06 29 00:04

日 인력난에 “고졸 고용증가율, 대졸 추월”

2025년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이 1일 일본 도쿄 시내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참석해 기업의 부스를 방문하고 있다. 2024.3.1 도쿄 AFP 연합뉴스
2025년 대학을 졸업하는 학생들이 1일 일본 도쿄 시내에서 열린 취업 박람회에 참석해 기업의 부스를 방문하고 있다. 2024.3.1 도쿄 AFP 연합뉴스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 기업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 대체할 수 없는 육체노동에 투입할 고졸자 채용을 대폭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2025년도(2025년 4월~2026년 3월) 기업 채용 계획을 전년도와 비교한 결과, 고졸자는 19.9% 증가하고 대졸자는 15.6%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닛케이는 “고졸자 고용 증가율이 대졸자를 웃도는 것은 1998년도 이후 27년 만에 처음”이라고 전했다.

일본 기업 고졸자 고용 증가율은 2025년도까지 3년 연속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마토운수는 2025년도에 고졸자를 전년도 대비 50% 정도 많은 약 270명 채용해 배달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세콤 그룹은 고졸자 채용을 30% 늘리고, JFE스틸도 80% 확대할 계획이다.

고졸자 채용 경향이 확산하면서 기업들이 고졸자 임금을 올리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에 따르면 2023년 20~24세 대졸자와 19세 이하 고졸자 평균 월급은 각각 23만 9700엔(약 207만원), 19만 1500엔(약 165만원)이었다. 2021년 이후 고졸자 임금 증가율은 4.9%로 대졸자 4.5%보다 높았다.

닛케이는 “고졸 인재 채용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배경에는 현장 작업을 동반한 직종의 노동자 부족이 있다”며 육체노동 분야에서 고졸자 채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취업을 희망하는 고졸자 수는 감소하고 있고 고졸 고용 확대는 일시적 현상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고졸자 채용 쟁탈전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관측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난해 발표한 ‘노동 경제 동향 조사(2023년 5월 기준)’에 따르면 구인난에 인력을 채우지 못한 사업장 비율이 57%나 됐다. 운송·우편·건설·의료·복지 분야가 인력난이 가장 심각한 업종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인력난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일본 기업 ‘구인배율’은 올해 1.71로 최근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구인배율은 일할 사람을 찾는 구인자수를 직장을 구하는 구직자수로 나눈 것으로, 배율이 높아질수록 인력난이 심화한다는 뜻이다. 2025년 예상치도 올해 대비 0.4% 포인트 상승한 1.75가 될 전망이다.

윤예림 기자
  • 카카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더보기
여기 이슈
더보기
갓생 살기
더보기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