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도 ‘물리적 거리두기’도 부족하지 않은가?
임병선 기자
입력 2020 03 26 12:26
수정 2020 03 26 12:29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를 ‘물리적 거리두기(physical distancing)’란 표현으로 바꾸고 있다고 밝혔다. 마리아 반 케르크호베 WHO 신종질병팀장은 “바이러스 전파 예방을 위해 사람들로부터 물리적 거리를 두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하지만 그것이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 가족과 사회적으로 단절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기술이 매우 발전해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지 않으면서도 여러 방법으로 계속 연결돼 있을 수 있다”며 “우리는 물리적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바꾸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여전히 사람들이 연결돼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했다.
케르크호베 팀장은 “인터넷과 다른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계속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당신의 정신건강은 당신의 신체건강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일간 경향신문은 지난 24일 앞으로는 ‘물리적 거리두기’란 표현으로 바꿔 쓰겠다고 했다. 서울신문 사설도 지난 23일부터 계속 같은 표현을 쓰고 있다.
사실 WHO보다 먼저 ‘사회적 거리두기’ 표현의 부족함을 지적한 이가 있었다. 바로 원로 언론인 김중배(86) 선생이다. 권영길 전 민주노동당 대표는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며칠 전 저녁 자리에서 김중배 선생이 ‘뜻은 알겠는데, 사실 거리 두기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연대 강화의 뜻을 담아 가까워져야 한다고 강조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물리적 거리두기’로 바꾸는 게 어떠냐고 내 의견을 물어봤다. WHO보다 앞선 김중배 선생의 혜안이 놀랍다”고 적었다.
그런데 이 표현마저 딱딱하고 지나치게 건조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물리적(신체적) 거리를 유지하는 일면만 강조하고, 서로의 마음에 다가가자는 점을 강조하는 데 부족함이 있어 보이는 것이다. 그런 이들이 적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런 점에서 대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간격은 띄우고 마음은 가까이’, ‘따로 또 같이’ 정도를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외출을 자제하고 모임을 연기하는 등 타인과의 물리적 만남을 자제하고, 온라인으로 소통하며 마음을 가까이 하자는 의미를 모두 담을 수 있어 보인다.
물론 일부의 지적처럼 식자인 듯 구는 이들이 괜한 시빗거리를 만드는 것일 수도 있다. 이미 ‘사회적 거리두기’에 그런 뜻이 다 들어가 있으며 많은 이들이 부지불식간에 알고 쓰고 있다는 반박이다.
하지만 개념이나 표현은 우리의 행동과 마음가짐을 거꾸로 규정하기도 한다. 코로나19 확산 사태에 대처하는 우리의 가치관, 행동양식, 태도를 정립하기 위해서라도 모두가 지혜를 짜냈으면 한다. 많은 이들의 의견을 듣고 싶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