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액 ‘259억원’…복구비용은 ‘703억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 06 01 15:05
수정 2020 06 01 15:05
해마다 산불로 막대한 산림 피해가 발생하고 복구 비용으로 피해액의 2.7배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되는 등 ‘악순환’이 심각하다.
1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발생한 3건의 대형 산불로 2586㏊의 산림뿐 아니라 산사태(11.8㏊), 계류보전(5.6㎞), 사방댐(14개소)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액이 산림(193억원)을 포함해 259억 500만원으로 추산됐다.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감안하면 1138억원에 달한다.
올해 4월 24일 발생한 경북 안동 산불 피해가 1944㏊로 가장 컸고 3월 19일 울산 울주(519㏊), 5월 1일 강원 고성(123㏊) 등이다.
산림청이 지난달 이들 3곳의 산불 피해지에 대한 현장조사 등을 통해 산정한 복구비는 703억 4700만원(국비 523억 7500만원·지방비 179억 7200만원)이다. 복구 조림에 637억 7600만원, 사방댐 등 산림시설 설치에 65억 7100만원이 필요하다.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생활권 주변 긴급 벌채 및 예방 사업 등 ‘응급복구’에 300여억원을 투입해 연내 마무리한다. 특히 토사 유출이 우려되는 울주 6곳과 안동 2곳, 고성 1곳 등 긴급 조치가 필요한 9곳에 대해서는 6월 말, 우기 전까지 마대 쌓기와 마대 수로 설치 등 긴급 조치를 마무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2023년까지는 총 370억여원을 들여 민가 주변 내화 수림대 조성과 산사태 발생 우려지·황폐계류지 사방사업 시행 등 ‘항구 복구’를 추진한다.
산림청은 복구 조림은 산주의 요청을 최대한 반영해 수종을 선정하되 산불 위험지 등에는 고성 산불에서 확인된 것처럼 활엽수 조림을 통한 내화 수림대를 설치하는 등 전략적 접근에 나서기로 했다. 또 화목보일러 등 난방기에 대한 사용지침과 연통 소재에 대한 품질 기준 등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초동 진화와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 필요성이 확인됐다”며 “산불로 훼손된 산림 생태계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데 오랜 시간과 수많은 예산 및 노력이 투입되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올해 4월 24일 발생한 경북 안동 산불 피해가 1944㏊로 가장 컸고 3월 19일 울산 울주(519㏊), 5월 1일 강원 고성(123㏊) 등이다.
산림청이 지난달 이들 3곳의 산불 피해지에 대한 현장조사 등을 통해 산정한 복구비는 703억 4700만원(국비 523억 7500만원·지방비 179억 7200만원)이다. 복구 조림에 637억 7600만원, 사방댐 등 산림시설 설치에 65억 7100만원이 필요하다.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생활권 주변 긴급 벌채 및 예방 사업 등 ‘응급복구’에 300여억원을 투입해 연내 마무리한다. 특히 토사 유출이 우려되는 울주 6곳과 안동 2곳, 고성 1곳 등 긴급 조치가 필요한 9곳에 대해서는 6월 말, 우기 전까지 마대 쌓기와 마대 수로 설치 등 긴급 조치를 마무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2023년까지는 총 370억여원을 들여 민가 주변 내화 수림대 조성과 산사태 발생 우려지·황폐계류지 사방사업 시행 등 ‘항구 복구’를 추진한다.
산림청은 복구 조림은 산주의 요청을 최대한 반영해 수종을 선정하되 산불 위험지 등에는 고성 산불에서 확인된 것처럼 활엽수 조림을 통한 내화 수림대를 설치하는 등 전략적 접근에 나서기로 했다. 또 화목보일러 등 난방기에 대한 사용지침과 연통 소재에 대한 품질 기준 등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초동 진화와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 필요성이 확인됐다”며 “산불로 훼손된 산림 생태계를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데 오랜 시간과 수많은 예산 및 노력이 투입되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