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행랑 친 ‘53년 독재’ 최악의 학살자, 결국 러시아로 망명했다
윤예림 기자
입력 2024 12 09 06:29
수정 2024 12 09 06:29
시리아 탈출한 알아사드 대통령, 모스크바 도착
러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망명 허가”
시리아 반군에 의해 수도 다마스쿠스가 함락되기 직전 이곳을 떠난 것으로 알려진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러시아 모스크바로 피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타스와 스푸트니크 통신은 8일(현지시간) 러시아 대통령실(크렘린궁) 소식통을 인용해 “알아사드 대통령과 그 가족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며 “러시아는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이들에게 망명을 허가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항공기 항로 추적사이트 ‘플라이트레이더24’(Flightradar24)를 토대로 다마스쿠스가 시리아 반군에 함락됐다는 보도가 나온 무렵 항공기 한 대가 다마스쿠스 공항을 이륙했다고 보도했다.
이 항공기에 알아사드 대통령이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 항공기는 러시아 해군기지가 있는 시리아 중서부 타르투스를 향해 날다 갑자기 신호가 사라져 추락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쿠데타로 권력을 잡아 1971∼2000년 장기 집권한 아버지 하페즈 알아사드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았으며, 알아사드 부자가 53년간 독재 철권통치를 해왔다.
알아사드 대통령은 특히 내전 발발 후에는 화학무기까지 써가며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제사회에선 ‘중동의 불사조’로 불리며 최악의 학살자, 전쟁 범죄자로 거론돼 왔다.
러시아는 지난 2015년부터 알아사드 정권 편을 들어 시리아 내전에 군사 개입을 해왔다. 이 과정에서 알레포 등 주요 반군 거점에 무차별 폭격을 가해 수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동시에 시리아에 러시아의 육·해·공군 기지를 세우고 시리아를 러시아의 중동 개입을 위한 지렛대로 삼아왔다.
알아사드 정권이 축출된 날 러시아 외무부는 “시리아에서 포용적 과도정부를 수립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고 입장을 냈다.
윤예림 기자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